미국 바이오산업서 중국 견제 재점화, 'K바이오' 반사이익 기대감 솔솔

▲ 20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치권에서 바이오 산업을 생명공학을 국가 안보 자산으로 규정하고 중국을 견제하면서 국내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미국이 바이오산업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견제를 다시 강화하고 있다. 중국이 미국의 바이오 기술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면서 ‘생물보안법안’ 등도 재추진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20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상원과 하원에서 각각 ‘국가 바이오 기술 이니셔티브 법안’을 발의하면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가 바이오 기술 이니셔티브 법안’은 미국이 바이오 기술 육성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행정부에서 컨트롤 타워 구축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통령 집무실 내 국가바이오기술조정국(NBCO) 설립, 부처 간 위원회 설립, 모든 연방 부처와 기관에 대한 명확한 책임 부여 등이 담겼다.

이 법안은 미국 의회 자문기구인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NSCEB)가 제출한 국가 안보 관련 보고서가 바탕이 됐다.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휘는 보고서에서 “수십 년 동안 미국은 바이오 기술 혁신의 글로벌 리더였으나 이제 미국이 중국에 뒤처질 위험에 처할 정도로 가까워졌다”고 지적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앞으로 3년 동안 혁신 바이오 기술 발전에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미국이 중국에 밀려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뒤처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정치권에서 다시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올린 셈이다.

실제 시장에서도 미국이 중국 바이오업체에 대한 규제도 재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한승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정부의 중국 바이오 규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올해 안에 미국 정부의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과 관련해 신규 규제법안을 발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미국 바이오산업서 중국 견제 재점화, 'K바이오' 반사이익 기대감 솔솔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이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전망됐다.


올해 초 미국 상원에서 기한 만료로 폐기된 생물보안법안 등 중국 규제나 투자 제한 등의 내용이 담긴 법안이 재추진될 수 있다는 뜻이다.

생물보안법안은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 업체들을 제재하는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국내 CDMO 업체들로서는 다시 한 번 반사이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CDMO 산업은 바이오의약품 특성상 5년 이상의 장기 계약이 많은 데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곳이 많지 않다. 실제 의약품 특성상 생산 시설에 대해서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는 필수적이다.

다만 최근 미국 정부가 의약품 관세 부과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 수혜로 이어질 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시선도 나온다.

최근 미국 상무부는 연방 관보를 통해 의약품 및 의약품 원료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공개 의견수렴 절차에 들어갔다.

업계에서는 이를 의약품 품목 관세 부과를 위한 절차로 보고 있다.

의약품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보통관세 품목에서 빠졌지만 별도의 기준에 따라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바이오업체 관계자는 “관세 부과와 묶여 있다는 점에서 한국 바이오기업에 수혜가 될지 여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