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기후변화 피해' 국가에 지원 계속, 미국 트럼프 정부 압박에도 의지 분명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가 4월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IMF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국제통화기금(IMF)이 기후변화에 피해를 입는 국가를 대상으로 꾸준한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재차 강조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등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여전히 기후 피해를 중요한 문제로 바라보고 대응 체계를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로이터는 25일 “IMF가 세계 금융위기 위험을 방지하고 트럼프 정부 관세 영향에 대응하는 가운데도 기후 리스크에 직면한 국가에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세계은행과 연례회의 중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후변화는 세계 거시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IMF가 2022년 출범한 기후변화 피해국 지원 조직 운영을 재검토할 뜻이 있냐는 질문에 대답한 것이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IMF와 세계은행이 기후변화 및 성평등 문제에 너무 집중하고 있어 거시경제 안정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더욱 주목해야 할 때라는 비판을 내놓았다.

IMF가 트럼프 정부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한 것이다.

하지만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우리는 기후 전문가가 아니라 필요한 일을 할 뿐”이라며 기후변화로 피해를 보는 국가를 돕는 일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시각을 전했다.

IMF가 기후변화 피해국에 지원하는 자금은 전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크지 않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사실상 미국 정부의 압박을 받아들여 기후변화 관련 정책을 축소할 계획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그는 “IMF는 여러 회원국의 뜻에 따라 정책적 결정을 수행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이 촉발한 글로벌 경제 불안에 대응하는 일이 가장 우선순위라는 점을 강조했다.

IMF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적극 수행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전 세계 경제는 새롭고 매우 큰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며 “각국이 재정 및 경제 개혁에 속도를 내 무역 불확실성에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