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DL이앤씨가 국내 13년 만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 공사를 개시했다.
DL이앤씨는 17일 충북 영동군에서 영동양수발전소 건설 공사를 위한 착공식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양수발전은 높이 차이가 나는 두 개의 댐을 두고 전기가 남을 때 하부 댐에 있는 물을 상부로 끌어올렸다가 수요가 많을 때 물을 떨어뜨려 전력을 생산하는 수력발전이다.
영동양수발전소는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양강면 일대 118만㎡(약 36만 평) 크기로 550MW(메가와트)규모로 조성된다. 11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DL이앤씨는 한국수력원자력이 13년 만에 신규로 수진하는 양수발전 사업인 이 공사를 지난해 8월 총사업비 5034억 원 규모로 수주했다.
국내에서 양수발전소가 지어진 것은 2011년 예천양수발전소가 마지막이었고 이 발전소도 DL이앤씨가 건설했다.
DL이앤씨는 이란 카룬댐, 파키스탄 굴루프 수력발전소, 인도네시아 카리안댐 등 수력발전·댐 분야에서 국내 업계 최대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물과 전기의 특징이 혼합된 양수발전소는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요구한다. 또 상부 댐과 하부 댐을 연결하기 위해 아파트 143층 높이인 430m의 수직 터널을 건설해야 하는 고난도 작업도 필요하다.
전기 저장 능력을 지닌 양수발전소는 탈탄소 분야에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으면서 동시에 수요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낮 태양광이 생산한 전기로 물을 끌어올렸다가 태양광 발전이 감소하는 저녁 때 가동하는 방식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1.75GW(기가와트) 규모의 양수발전소를 늘리겠다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현재 건설하고 있거나 건설이 예정된 양수발전소는 강원 홍천군, 전남 구례군 등 9곳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DL이앤씨는 국내 마지막 양수발전소를 준공한 건설사이면서 1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건설사”라며 “이번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에너지 안보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DL이앤씨는 17일 충북 영동군에서 영동양수발전소 건설 공사를 위한 착공식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 충북 영동군 영동양수발전소 조감도. 상부 댐(오른쪽)의 물을 하부 댐으로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 DL이앤씨 >
양수발전은 높이 차이가 나는 두 개의 댐을 두고 전기가 남을 때 하부 댐에 있는 물을 상부로 끌어올렸다가 수요가 많을 때 물을 떨어뜨려 전력을 생산하는 수력발전이다.
영동양수발전소는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양강면 일대 118만㎡(약 36만 평) 크기로 550MW(메가와트)규모로 조성된다. 11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DL이앤씨는 한국수력원자력이 13년 만에 신규로 수진하는 양수발전 사업인 이 공사를 지난해 8월 총사업비 5034억 원 규모로 수주했다.
국내에서 양수발전소가 지어진 것은 2011년 예천양수발전소가 마지막이었고 이 발전소도 DL이앤씨가 건설했다.
DL이앤씨는 이란 카룬댐, 파키스탄 굴루프 수력발전소, 인도네시아 카리안댐 등 수력발전·댐 분야에서 국내 업계 최대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물과 전기의 특징이 혼합된 양수발전소는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요구한다. 또 상부 댐과 하부 댐을 연결하기 위해 아파트 143층 높이인 430m의 수직 터널을 건설해야 하는 고난도 작업도 필요하다.
전기 저장 능력을 지닌 양수발전소는 탈탄소 분야에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으면서 동시에 수요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낮 태양광이 생산한 전기로 물을 끌어올렸다가 태양광 발전이 감소하는 저녁 때 가동하는 방식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1.75GW(기가와트) 규모의 양수발전소를 늘리겠다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현재 건설하고 있거나 건설이 예정된 양수발전소는 강원 홍천군, 전남 구례군 등 9곳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DL이앤씨는 국내 마지막 양수발전소를 준공한 건설사이면서 1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건설사”라며 “이번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에너지 안보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