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금융그룹이 미국 상호관세에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우리금융은 8일 상호관세 관련 시장안정 및 수출입기업 지원에 총 10조2천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현재 가동 중인 2조9천억 원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에 7조3천억 원 규모의 신규 지원 프로그램을 더하는 방식이다.
새로 가동되는 수출기업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은 크게 △중소기업 특별보증서 대출 공급 5천억 원 △상호관세 타격 기업 경영안정 특별지원 1천억 원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금융비용 경감 6조7천억 원 등 3가지로 구성된다.
중소기업 특별 보증서 대출 공급 프로그램은 반도체와 자동차업종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연계 특별출연을 추가로 실시하고 상호관세 피해기업에 금리를 최대 3%포인트 우대해준다.
상호관세 타격 기업 경영안정 특별지원 프로그램은 경영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최대 5억 원의 여신과 함께 대출연장, 금리 및 수수료 우대 등을 지원한다. 수출환어음 부도처리 기간도 최대 90일 유예해준다.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금융비용 경감 프로그램은 금리지원을 강화하는 것으로 5% 초과 금리를 인하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외환수수료를 우대 지원해준다.
우리금융은 임종룡 회장이 주관하는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매일 상황을 점검하고 지원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연수 우리은행 기업그룹장은 “상호관세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산업군·기업별로 핀셋형 맞춤 지원을 하고자 한다”며 “관세 영향이 큰 자동차·철강·반도체업종 중에서도 미국 수출 비중이 큰 기업들을 최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추가대출, 원금 상환 없는 기간연장, 금리 우대 등 다양한 방식을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이한재 기자
우리금융은 8일 상호관세 관련 시장안정 및 수출입기업 지원에 총 10조2천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 우리금융이 10조2천억 원 규모의 '미국 상호관세 피해 수출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현재 가동 중인 2조9천억 원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에 7조3천억 원 규모의 신규 지원 프로그램을 더하는 방식이다.
새로 가동되는 수출기업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은 크게 △중소기업 특별보증서 대출 공급 5천억 원 △상호관세 타격 기업 경영안정 특별지원 1천억 원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금융비용 경감 6조7천억 원 등 3가지로 구성된다.
중소기업 특별 보증서 대출 공급 프로그램은 반도체와 자동차업종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연계 특별출연을 추가로 실시하고 상호관세 피해기업에 금리를 최대 3%포인트 우대해준다.
상호관세 타격 기업 경영안정 특별지원 프로그램은 경영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최대 5억 원의 여신과 함께 대출연장, 금리 및 수수료 우대 등을 지원한다. 수출환어음 부도처리 기간도 최대 90일 유예해준다.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금융비용 경감 프로그램은 금리지원을 강화하는 것으로 5% 초과 금리를 인하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외환수수료를 우대 지원해준다.
우리금융은 임종룡 회장이 주관하는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매일 상황을 점검하고 지원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연수 우리은행 기업그룹장은 “상호관세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산업군·기업별로 핀셋형 맞춤 지원을 하고자 한다”며 “관세 영향이 큰 자동차·철강·반도체업종 중에서도 미국 수출 비중이 큰 기업들을 최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추가대출, 원금 상환 없는 기간연장, 금리 우대 등 다양한 방식을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