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임팩트(옛 한화종합화학)가 미국에서 수소혼소 가스터빈 개조사업을 추진한다.
한화임팩트는 미국 뉴저지주에 위치한 린덴코제너레이션 발전소(Linden Cogeneration Plant)의 172MW(메가와트)급 가스터빈을 수소혼소 가스터빈으로 개조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1일 밝혔다.
수소혼소 가스터빈은 연료로 기존 천연가스와 함께 수소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수소혼소 가스터빈은 기존 가스터빈과 비교해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수소전소(수소만을 연료로 사용하는 방식) 가스터빈의 앞 단계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한화임팩트가 이번에 수주한 수소혼소 가스터빈 개조사업에는 세계 최초로 수소혼소율 40%가 적용된다. 기존 다른 수소혼소 가스터빈에는 수소혼소율 25%가 적용됐었다.
한화임팩트는 이번 수소혼소 가스터빈 개조사업에 질소산화물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기술도 활용한다. 질소산화물은 미세먼지, 스모그,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환경오염물질이다.
한화임팩트는 3월 한국서부발전과 '수소혼소 발전 사업협력 양해각서(MOU)'를 맺고 수소혼소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을 하고 있다.
한화임팩트 관계자는 “현재 수소혼소율을 최대 55%까지 적용할 수 있는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수소혼소발전방식을 통해 탄소중립사회 구현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한화임팩트는 미국 뉴저지주에 위치한 린덴코제너레이션 발전소(Linden Cogeneration Plant)의 172MW(메가와트)급 가스터빈을 수소혼소 가스터빈으로 개조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1일 밝혔다.

▲ 미국 린덴코제너레이션 발전소(Linden Cogeneration Plant) 전경. <한화임팩트>
수소혼소 가스터빈은 연료로 기존 천연가스와 함께 수소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수소혼소 가스터빈은 기존 가스터빈과 비교해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수소전소(수소만을 연료로 사용하는 방식) 가스터빈의 앞 단계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한화임팩트가 이번에 수주한 수소혼소 가스터빈 개조사업에는 세계 최초로 수소혼소율 40%가 적용된다. 기존 다른 수소혼소 가스터빈에는 수소혼소율 25%가 적용됐었다.
한화임팩트는 이번 수소혼소 가스터빈 개조사업에 질소산화물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기술도 활용한다. 질소산화물은 미세먼지, 스모그,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환경오염물질이다.
한화임팩트는 3월 한국서부발전과 '수소혼소 발전 사업협력 양해각서(MOU)'를 맺고 수소혼소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을 하고 있다.
한화임팩트 관계자는 “현재 수소혼소율을 최대 55%까지 적용할 수 있는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수소혼소발전방식을 통해 탄소중립사회 구현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