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하고 다음 주부터 정상 진료로 복귀한다.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소속 교수를 대상으로 무기한 휴진 등에 관한 투표를 20일부터 21일까지 진행한 결과 교수 948명 가운데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대병원 소속 교수들은 17일부터 응급, 중증, 희귀질환 등의 환자 진료를 제외한 기타 환자 진료와 정규 시술을 중단했다. 1주 만에 휴진을 멈추기로 한 것이다.
교수들은 앞으로 활동 방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답했다.
55.4%는 '범의료계와 연대해야 한다'고 답변했으며 65.6%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비대위는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다”며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충희 기자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소속 교수를 대상으로 무기한 휴진 등에 관한 투표를 20일부터 21일까지 진행한 결과 교수 948명 가운데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21일 밝혔다.

▲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소속 교수들은 17일부터 응급, 중증, 희귀질환 등의 환자 진료를 제외한 기타 환자 진료와 정규 시술을 중단했다. 1주 만에 휴진을 멈추기로 한 것이다.
교수들은 앞으로 활동 방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답했다.
55.4%는 '범의료계와 연대해야 한다'고 답변했으며 65.6%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비대위는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다”며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