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YP엔터테인먼트 주식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유튜브, 음원, 음반 매출이 많이 증가했고 하반기에도 아티스트들의 컴백 이벤트,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오프라인 공연 매출 등의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성준원 신한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JYP엔터테인먼트 목표주가를 기존 4만2천 원에서 4만6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JYP엔터테인먼트 주가는 직전 거래일인 14일 3만590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성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콘서트 및 MD(기획상품) 매출은 감소했지만 유튜브, 음원, 음반 매출은 오히려 많이 증가했다. 덕분에 전체 매출 감소폭은 소폭에 그쳤다”며 “일본 니쥬 매출은 약 40억 원 수준이고 비용 통제효과까지 겹치며 영업이익률은 창사 이래 최고인 42.6%가 나왔다”고 말했다.
JYP엔터테인먼트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323억 원, 영업이익 138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4.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5% 늘어났다.
성 연구원은 올해도 코로나19로 오프라인 공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바라봤다. 그러나 온라인 및 음원, 음반을 통해 아티스트들 컴백과 신인 데뷔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성 연구원에 따르면 JYP엔터테인먼트는 5월부터 연말까지 스트레이키즈의 컴백, 트와이스 일본 앨범, 2PM 컴백, 니쥬 컴백, 니쥬-보이 프로젝트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백신 접종으로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하반기부터 오프라인 공연이 시작된다면 추가 실적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성 연구원은 “2021년에도 국내외에서 아티스트들의 컴백 및 신인 데뷔 이벤트가 있고 콘텐츠 매출 증가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백신 효과를 통한 오프라인 공연 기대감은 실적 개선효과뿐만 아니라 향후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JYP엔터테인먼트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649억 원, 영업이익 57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4.2%, 영업이익은 29.2%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
유튜브, 음원, 음반 매출이 많이 증가했고 하반기에도 아티스트들의 컴백 이벤트,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오프라인 공연 매출 등의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 박진영 JYP엔터테인먼트 최대주주.
성준원 신한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JYP엔터테인먼트 목표주가를 기존 4만2천 원에서 4만6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JYP엔터테인먼트 주가는 직전 거래일인 14일 3만590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성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콘서트 및 MD(기획상품) 매출은 감소했지만 유튜브, 음원, 음반 매출은 오히려 많이 증가했다. 덕분에 전체 매출 감소폭은 소폭에 그쳤다”며 “일본 니쥬 매출은 약 40억 원 수준이고 비용 통제효과까지 겹치며 영업이익률은 창사 이래 최고인 42.6%가 나왔다”고 말했다.
JYP엔터테인먼트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323억 원, 영업이익 138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4.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5% 늘어났다.
성 연구원은 올해도 코로나19로 오프라인 공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바라봤다. 그러나 온라인 및 음원, 음반을 통해 아티스트들 컴백과 신인 데뷔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성 연구원에 따르면 JYP엔터테인먼트는 5월부터 연말까지 스트레이키즈의 컴백, 트와이스 일본 앨범, 2PM 컴백, 니쥬 컴백, 니쥬-보이 프로젝트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백신 접종으로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하반기부터 오프라인 공연이 시작된다면 추가 실적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성 연구원은 “2021년에도 국내외에서 아티스트들의 컴백 및 신인 데뷔 이벤트가 있고 콘텐츠 매출 증가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백신 효과를 통한 오프라인 공연 기대감은 실적 개선효과뿐만 아니라 향후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JYP엔터테인먼트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649억 원, 영업이익 57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4.2%, 영업이익은 29.2%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