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iM금융지주가 계열사 건전성 관리와 대손비용 감소 등에 따라 지난해보다 개선된 순이익을 거뒀다.
iM금융지주는 28일 실적발표를 통해 2025년 상반기 지배주주지분 순이익이 309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년 전보다 106.2% 증가한 수치다.
iM금융지주는 “iM뱅크가 우량자산 위주 성장을 통한 건전성 관리로 이익 규모를 크게 개선시켰다”며 “또 iM증권이 2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는 등 전체 계열사에 걸쳐 대손비용이 큰 폭으로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주력 계열사인 iM뱅크는 상반기 순이익으로 2564억 원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22.0% 늘었다.
우량 여신 위주 대출 성장 관리와 시장금리 하락 영향 최소화로 순이자마진(NIM) 하락을 방어하고 비이자이익 호조와 대손비용률 하향 안정화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대규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적립 영향으로 지난해까지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던 iM증권은 올해 1분기 순이익 274억 원을 기록하며 첫 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iM증권은 2분기에도 순이익 267억 원을 기록하며 상반기 순이익 541억 원을 달성했다.
iM라이프와 iM캐피탈도 각각 순이익 138억 원, 297억 원을 냈다.
iM금융지주 이사회는 이날 200억 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소각 계획을 결의했다.
이번 결의로 iM금융지주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이행률은 40%로 상향된다. 앞서 iM금융지주는 2023년 매입한 200억 원의 자사주와 신규 매입한 400억 원의 자사주 등 모두 합쳐 600억 원 규모를 올해 상반기 소각했다.
iM금융지주 관계자는 “연간 실적 회복 가능성이 커지면서 200억 원의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을 발표하는 등 주주환원 규모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며 “시장 기대에 부응하는 실적을 내며 2027년까지 3개년 계획으로 세운 밸류업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iM금융지주는 28일 실적발표를 통해 2025년 상반기 지배주주지분 순이익이 309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년 전보다 106.2% 증가한 수치다.
▲ iM금융지주가 상반기 지배주주 순이익 3093억 원을 거뒀다고 28일 발표했다.
iM금융지주는 “iM뱅크가 우량자산 위주 성장을 통한 건전성 관리로 이익 규모를 크게 개선시켰다”며 “또 iM증권이 2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는 등 전체 계열사에 걸쳐 대손비용이 큰 폭으로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주력 계열사인 iM뱅크는 상반기 순이익으로 2564억 원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22.0% 늘었다.
우량 여신 위주 대출 성장 관리와 시장금리 하락 영향 최소화로 순이자마진(NIM) 하락을 방어하고 비이자이익 호조와 대손비용률 하향 안정화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대규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적립 영향으로 지난해까지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던 iM증권은 올해 1분기 순이익 274억 원을 기록하며 첫 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iM증권은 2분기에도 순이익 267억 원을 기록하며 상반기 순이익 541억 원을 달성했다.
iM라이프와 iM캐피탈도 각각 순이익 138억 원, 297억 원을 냈다.
iM금융지주 이사회는 이날 200억 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소각 계획을 결의했다.
이번 결의로 iM금융지주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이행률은 40%로 상향된다. 앞서 iM금융지주는 2023년 매입한 200억 원의 자사주와 신규 매입한 400억 원의 자사주 등 모두 합쳐 600억 원 규모를 올해 상반기 소각했다.
iM금융지주 관계자는 “연간 실적 회복 가능성이 커지면서 200억 원의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을 발표하는 등 주주환원 규모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며 “시장 기대에 부응하는 실적을 내며 2027년까지 3개년 계획으로 세운 밸류업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