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대통령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는 산업재해(산재) 근절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살기 위해 갔던 일터가 죽음의 장이 되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며 “(안전장치 미비에 따른 산재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또는 사회적 타살”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필요하면 관련 법을 개정해서라도 후진적인 '산재 공화국'을 반드시 벗어나도록 해야겠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이 노동자들의 안전 보호를 위한 비용을 충분히 쓰도록 바꿔야한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노동하는 데서 비용을 아끼기 위해 안전조치를 안 하는 것은 바보짓이라는 생각이 들게 하면 된다”며 “그게 더 손해가 되게 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기업들이 위험한 일을 하청기업으로 넘어가면서 발생하는 ‘위험의 외주화’를 끊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위험한 작업은 하청을 주거나 외주를 준다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라며 “책임은 안 지고 이익은 보겠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무위원들에게 “제도가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치의 조치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김대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살기 위해 갔던 일터가 죽음의 장이 되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며 “(안전장치 미비에 따른 산재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또는 사회적 타살”이라고 말했다.

▲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필요하면 관련 법을 개정해서라도 후진적인 '산재 공화국'을 반드시 벗어나도록 해야겠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이 노동자들의 안전 보호를 위한 비용을 충분히 쓰도록 바꿔야한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노동하는 데서 비용을 아끼기 위해 안전조치를 안 하는 것은 바보짓이라는 생각이 들게 하면 된다”며 “그게 더 손해가 되게 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기업들이 위험한 일을 하청기업으로 넘어가면서 발생하는 ‘위험의 외주화’를 끊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위험한 작업은 하청을 주거나 외주를 준다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라며 “책임은 안 지고 이익은 보겠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무위원들에게 “제도가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치의 조치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김대철 기자